교육목표
- HOME
- 학부
- 교과과정소개
- 교육목표
세계적 수준으로 진화하는 캠퍼스 Opening the Future, Step towards the world
올바른 인성과 실무능력을 갖추고 전문지식과 직업의식을 바탕으로 경쟁력 있는 구강보건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목표를 설정한다.
- 올바른 인격과 대인관계능력, 소통능력, 전문가 의식에 대한 기본소양을 함양한다.
- 투철한 직업윤리를 바탕으로 인류의 구강건강증진에 헌신할 수 있는 봉사정신을 함양한다.
- 근거 중심의 지식과 기술을 기반으로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최적의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역량을 배양한다.
- 전문지식과 숙련된 치위생 기술을 통해 경쟁력 있는 실무 능력을 갖춘 치과위생 전문가가 된다.
치위생학과 교육편람
교과목명 | 교과목해설 |
---|---|
치위생학개론 (Introduction to Dental Hygiene) |
치위생학과에 입문한 학생들로 하여금 분명한 학습 목표를 가지고 학업에 임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치과위생사 교육과정의 흐름을 이해시키는데 교육목표를 두며 치위생학 및 치과위생사 제도의 역사적 발전 과정과 치과위생사의 업무 범위와 역할직무 윤리 등을 학습한다. |
3D 구강해부학 (3D Head & Neck Anatomy) |
구강 및 주위 구조물들에 대한 해부학적 위치, 형태, 기능을 이해하고 실제 임상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초적인 치과 지식을 습득한다. |
치아형태학 (Dental Morphology) |
치아의 형태, 기능, 배열, 교합 및 치아주위 조직과의 관계에 대하여 학습함으로써 치아의 해부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 교과목 학습 및 임상 술기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. |
치의학용어 (Dental & Medical Terminology) |
치위생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영어 개념들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함으로써 전공분야에서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학업 동기 유발에 도움을 준다. |
구강조직발생학 (Oral Histology & Embryology) |
인체조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치아와 구강 및 주위조직의 미세구조와 기능, 발생 과정을 종합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치위생학 학습의 기초지식으로 활용한다. |
감염관리학 (Infection Control in Dentistry) |
치과 임상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성 질환의 주 원인이 되는 미생물의 특성과 발병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과 원리를 학습한다. |
공중구강보건학 (Public Oral Health) |
지역사회 구강질환 예방과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의 종류 및 사업내용과 담당업무와 역할에 대해 학습하고 이해하며 지역사회구강보건사업을 위한 구강보건행정요소 및 행정절차에 대해 학습한다. |
구강생리학 (Oral Physiology) |
인체의 생명현상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인체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구강 및 주위 구조물의 정상적인 기능과 조절기전을 중심으로 공부함으로써 치위생학 학습의 기초적인 토대를 형성하여 임상진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. |
치주학 (Periodontics) |
치아주위 조직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치주질환의 발생원인, 치료, 역학, 예방, 치주기구의 취급 및 관리법 등을 습함으로써 구강위생관리에 필요한 기초 지식을 습득한다. |
구강미생물학 (Oral Microbiology) |
인체의 정상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의 총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구강 미생물과 구강질환 및 전신적인 감염증과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고 치과 임상과의 관련성을 공부한다. 또한 구강영역을 포함한 인체의 면역현상과 방어기전에 대해 학습한다. |
기초치위생학 (Basic Science in Dental Hygiene) |
구강질환을 예방하고 구강건강상태를 증진,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구강건강관리가 필수적이다. 치과위생사의 주업무인 치석제거를 기반으로 이론과 관련된 실습을 통해 충분히 임상에서 응용하고 적용하고자 한다. |
구강병리학 (Oral Pathology) |
구강 및 악안면 영역에 발생하는 질환의 원인 및 양태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강의 및 현미경 실습을 통해 습득하여 임상 진료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. |
구강보건교육학 (Oral Health Education) |
개인 및 및 집단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의 개념 및 과정, 치아우식증 및 치주병예방과 식이조절교육, 학교구강보건사업, 진료실구강보건교육, 특정집단에 대한 구강보건교육 등을 학습하고 구강건강관리 및 증진을 위한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 및 구강보건 교육의 필요, 성을 인식시켜 유능한 구강보건 교육자로서의 능력을 배양한다. |
기초치위생학및실습 (Basic Science and Practice in Dental Hygiene) |
과위생사의 주업무인 치석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치주기구 사용법에 대해 공부한다치주기구 사용법에 대해 익히고 제반 실습을 진행하여 임상치위생 역량을 키운다. |
예방치위생학및실습 (Preventive Dental Hygiene Practice) | 예방처치술식을 습득하여 대상 환자의 구강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예방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. 또한, 예방처치를 직접 수행하고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이를 임상에서 실용화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. |
치과교정학 (Orthodontics) |
치과 교정치료의 전반적인 술식과 과정에 대한 이해와 교정진료에 사용되는 기구, 장치 및 재료를 숙지함으로써 교정 진료를 원활히 지원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교정환자의 구강위생처치 및 교육을 적합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. |
치과보존학 (Operative Dentistry) |
치아 경조직 질환의 치료 원리와 전반적인 임상 술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존치료에 사용되는 기구, 장치 및 재료를 숙지함으로써 보존 진료를 원활히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. |
치과보철학 (Prothodontics) |
결손 치아부위를 회복하여 구강기능을 재건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치과보철 분야 중에서 환자 상담, 임시 보철물의 제작, 보철 재료의 취급, 기공물 관리 과정 및 제반 임플란트 보철 등과 관련된 치과위생사 업무에 대해 공부함으로써 이를 임상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. |
구강악안면외과학 (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) |
구강 및 악안면 수술의 기본적인 이해 및 외과용 기구의 소독, 관리, 수술 준비과정 등을 학습하고 관련 진료를 원활히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. 또한 치과영역에서 사용되는 약물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임상 활용 등에 관해 공부하며 치과위생사로서 알아야 할 약물의 작용기전과 전신적인 영향 및 유의사항을 숙지한다. |
지역사회구강보건캡스톤디자인 (Capstone Design: Dental Hygiene Education) |
구강보건교육과 관련된 과제의 기획수행분석 등의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기획능력, 협업능력, 실무능력 등을 갖춘 창의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. 구강건강관리 및 증진을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의 종합적 설계를 통해 구강보건 교육자로서의 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. |
소아치과학 (Pedodontics) |
소아의 행동 특성과 행동조절의 기본 원리 및 방법, 소아 구강질환의 치료 원리와 술식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소아치과치료에 사용되는 기구, 장치 및 재료를 숙지함으로써 소아치과 진료를 원활히 지원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. |
현장임상실습1 (Field Practice in Dental Hygiene 1) |
치과의료기관의 현장실습을 통하여 임상 실무능력을 배양한다. |
치위생연구캡스톤디자인 (Capstone Design: Dental Hygiene Research) |
치위생 전공과목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의 설계와 수행을 하는 교과목이다. 기초적 실험에서 임상과 연계된 실험사회에서 이슈가 되는 문제를 관련 문헌을 탐색하여 적합한 연구방법을 선택하고 문제를 해결한다. |
치과임플란트학 (Dental Implant Theory) |
결손된 치아의 기능회복을 위해 최근 치과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는 치과임플란트 이론을 공부하고 임플란트 시술 전반에 걸친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. |
현장임상실습2 (Field Practice in Dental Hygiene 2) |
치과의료기관의 현장실습을 통하여 임상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. |
직업윤리와의료서비스 (Vocational Ethics and Dental Medical Service) |
직업현장에서 치과위생사가 가져야 할 직업윤리에 대해 배우고 치과경영마케팅과 치과 업무 시스템에 대해 알아본다. |
심화치위생학및실습 캡스톤디자인 1 (Capstone Design: Advanced Dental Hygiene and Practice 1) |
대상자에게 임상치위생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이론을 학습하고 관련된 다양한 실습을 학년에 걸쳐 수 1 2, 3, 4학년에 걸쳐 수행하게 되는 과목이다. 본 과목을 통해 수행하게 되는 실습으로는 치위생사정, 치위생진단, 치위생수행, 치위생평가 등이 있다. 대상자의 구강상태와 개인적인 행동 요인을 고려하여 학생이 스스로 적절한 치위생과정을 수행하고 평가하는 것이 교육목표이다. |
임상증례세미나캡스톤디자인 (Capstone Design: Clinical Dental Hygiene) |
구강질환예방 및 구강건강관리를 위한 포괄적인 임상 치위생 활동의 개념을 익히고 개개인에게 요구되는 치위생학적 문제를 파악하여 특수한 구강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|
치과영어 (Dental Hygiene English) |
치위생학 전공과 임상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영어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전문지식을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움으로써 국제화 시대에 대비한다. |
보건의료법규캡스톤디자인 (Capstone Design: Health Law) |
치과위생사가 반드시 알아야 할 관련 법률(의료법, 의료기사법, 구강보건법, 지역보건법)내용을 명확하게 숙지하여 치과위생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. |
심화치위생학및실습2 (Advanced Dental Hygiene and Practice 2) |
본 과목을 통해 수행하게 되는 실습으로는 치위생사정, 치위생진단, 치위생수행, 치위생평가 등이 있다. 대상자의 구강상태와 개인적인 행동 요인을 고려하여 학생이 스스로 적절한 치위생과정을 수행하고 평가하는 것이 교육목표이다. |
치과약리학및캡스톤디자인 (Capstone Design: Dental Pharmacology) |
전신질환 및 치과질환에서 사용되는 약물의 작용기전 및 부작용을 이해하며 임상치위생관리에서 적절한 약물을 사용할 수 있고 관련 약물의 부작용에 대해 대처할 수 있도록 임상적 종합 설계능력을 배양하도록 한다. |
노인치위생학 (Geriatric Dental Hygiene) |
노인에 대한 신체적, 사회적, 심리적 변화에 따른 구강의 변화, 구강관리 방법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실제 치과 임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. |
치위생세미나 (Dental Hygiene Seminars) |
치위생연구에 대한 연구방법, 측정, 자료수집 및 분석에 대해 학습하고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. |
구강과전신건강캡스톤디자인 (Capstone Design: Oral and Systemic Health) |
구강 건강과 전신 건강의 관련성을 조사하고 구강 및 전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다. |
예방치위생학 (Preventive Dental Hygiene) |
구강 건강의 개념과 의의를 이해하여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과 같은 중대구강병을 예방하며 구강병 관리원칙에 따라 구강건강관리에 필요한 예방술식을 숙지한다. |
공무원법캡스톤디자인(Capstone Design: The National Public Service Law) | 보건직 및 행정직 공무원 임용준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공무원법에 관하여 학습한다. |
치과위생사 임상실습 (Clinical Practice) |
치위생 임상현장에 학생이 실습을 통해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습득하고 이론 교과목에서 배운 내용을 실습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. 치과위생사가 행할 수 있는 치의료 진료 과정에 실습생으로 참여하여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임상현장에서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과목이다. |
치위생및실습1캡스톤디자인 (Capstone Design: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1) |
치과위생사로서의 전문적인 역할 수행을 위해 포괄적, 체계적인 치위생 과정에 대해 공부하고 익힌다. |
구강영상학 (Oral Imaging) |
구강 및 악안면 조직의 해부학적 형태 및 관련 질환을 확인하기 위해 구강악안면 방사선 및 기타 영상은 필수적이다. 치과위생사로서 구강악안면 방사선 사진 및 기타 영상을 바르게 얻기 위해 구강영상학 이론을 공부한다. |
치과임상실무 1 (Dental Hygiene Clinical Practice) |
치과위생사의 임상실무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서 치과임상의 진료과목별로 진료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진료별로 사용하는 다양한 기구, 장비의 기능과 특징, 치과진료 영역의 술자 및 협조사로서의 역할, 치과 진료별 환자의 관리, 환자관리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고 실습하여 치과위생사의 임상업무 수행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과목이다. |
치과재료학및실습캡스톤디자인 (Capstone Design:Dental Materials and Practice) |
임상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치과 재료의 종류 및 특성을 학습한다. 또한 각 재료별 취급법을 제대로 이해하고 숙지하여 시제 임상에서 올바른 방법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. |
구강영상학및실습 (Oral Imaging Practice) |
치과위생사의 주요 업무 중 하나인 구강 및 악안면 조직의 방사선 촬영을 수행하고자 방사선 촬영 관련 이론을 공부하고 제반 실습을 통해 술기를 습득한다. |
치위생학및실습캡스톤디자인2 (Capstone Design: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2) |
치과위생사의 주된 임상 업무인 포괄적 구강위생관리 과정 및 술기를 대상자 실습을 통해 습득하고 숙련한다. |
구강보건빅데이터캡스톤디자인 (Capstone Design: Oral Health Big-data) |
보건의료 분야의 빅데이터에 대한 종합적 사고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구강보건 분야 다양한 건강지표 및 보건데이터 자료에 대해 분석하는 교과목이다. 보건사업 및 구강보건사업 관련 자료를 수집, 정리, 분석, 보고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보건통계 지표 및 구강보건통계 지표를 산출하는 방법을 익혀 구강보건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배양한다. 이를 바탕으로 치위생 연구 및 조사를 종합적으로 설계하여 결과를 얻도록 하는 교과목이다. |
치위생임상실무 2 (Dental Hygiene Clinical Practice 2) |
치과치료에 대한 진료업무와 진료보조업무에 임할 때 치과위생사로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치위생수행과정의 기본적 개념을 이해하고 임상과정에서 다뤄지는 치주기구의 종류와 작동법, 시술과정을 실습하고 임상진료분야에 대한 지식 및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임상에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과목이다. |
AI건강보험학 (AI Health Insurance Studies) |
국민건강보험에 관한 이론 및 구강진료에 관련되는 제반서식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기록, 관리하는 원리와 방법을 학습하여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 |
AI건강보험청구 (AI Health Insurance Practice) |
국민건강보험에 관한 이론 및 구강진료에 관련되는 제반서식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기록, 관리하는 원리와 방법을 학습하여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한다. |